• 더사이언스
  • 과학동아
  • 어린이과학동아
  • 수학동아
  • 시앙스몰
  • 지니움
회원가입 로그인
닫기

동아사이언스

첫단추인 계열 선택부터 신중하자
분야 기타/기타 날짜 2011-03-28
첫단추인 계열 선택부터 신중하자
선택과목 결정할 때 심사숙고해야


고등학교때 수학과 물리과목에 과히 천재성을 보였던 학생이 대학에 진학한 후 고생한다고 하소연한다. 선택과목 외에는 관심을 갖지 않았기 때문이다. 제대로 진학하기 위해서는 선택과목 결정도 신중히 해야하는 이유다.

구체적인 진로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작정 공부만 열심히 한다는 것은 매우 공허하고 자칫 위험한 일일 수 있다. 그런데도 이 땅의 많은 고등학생들은 공부만 열심히 하다가, 성적에 맞춰 대학을 정하고 학부와 학과를 선택하는 안타까운 경우가 많다. 지금 고등학교에 다니거나 이보다 어린 학생들이 다시 그런 전철을 밟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되는 현실이다. 그 정도로 진로 설정은 중요하면서도 어려운 작업이다.

필자가 학생들을 가르치며 경험한 일들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몇가지를 적어본다. 일천한 경험에서 나온 결과이지만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교과목 때문에 고민하는 학생들
대학에 진학해서 무엇을 전공할지, 즉 어떤 학과·학부를 지망할지는 각자의 능력·적성·흥미·가치관·성격을 고려해 선택해야 한다는 것은 기본원칙이다. 전공할 학과의 특성과 교과과정에 대해 꼼꼼하게 살펴보고 이해해야 한다는 것 또한 마찬가지다. 그래야만 진학 후나 대학 졸업 후 후회하지 않는다. 그런데 사실 이 기본원칙을 모르는 학생은 많지 않다. 여기서는 기본원칙 외의 것을 말하고자 한다.

필자는 16년이라는 짧지 않은 교직 생활을 하면서, 많은 학생들의 대학 진로·진학과 관련된 일들을 직접 봐왔다. 해당 대학의 학과 진학에 필요한 학교성적과 모의고사 점수가 나오지 않아 고민하는 학생, 학과 선택의 잘못으로 대학 진학에 성공한 다음에도 자신의 적성이 맞지 않아 후회하는 학생, 또는 아예 진학한 학교를 포기하고 재수를 하는 학생도 많이 봤다. 필자가 가르쳤던 학생들을 통해 본 몇가지 사례를 소개한다.

학생 A는 원래 꿈이 한의사였다. 그런데 점수를 맞추다 보니 약대에 진학할 수밖에 없었다. 졸업 후 약사가 됐지만, A는 본래의 꿈을 버리지 못했다. 결국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다시 치르고 뒤늦게 한의대에 진학했다.

학생 B는 모 대학 천문학과에 진학해 세계적인 우주천문학자가 되는 것이 원래 꿈이었다. B는 바로 천문학과를 가는 것보다 대학에서는 물리학을 전공한 뒤 대학원 진학할 때 천문학을 전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했고, 물리학과에 지원하겠다고 결심을 굳혔다. 수능시험에서는 당연히 지구과학을 선택했고, 고득점을 얻었다.

원래 천문학을 전공하려던 B는 고등학교에서 수능시험을 위한 선택과목 위주로 공부만 했던 것이 문제였다. 그가 진학한 학과에서는 화학을 비롯한 모든 기초 과학을 이수해야 했던 것이다. B는 하고 싶은 공부 대신 매일 밤늦도록 하기 싫은 과목의 보충 공부를 해야한다고 하소연을 하곤 한다.

모 대학 물리학과를 진학한 학생 C도 B와 똑같은 경우다. C는 고등학교 시절 수학과 물리과목에 상당히 천재성을 나타냈고 공부도 열심히 했다. 이 학생이 해당 대학에 진학하고 보니 고등학교에서 배우지 않은 화학이 교육과정에 있더란다. 1년 내내 화학 공부를 하느라 상당히 힘들었다는 이야기를 넋두리처럼 내뱉는 것을 듣고 필자가 가슴아파한 적이 있다.

B와 C의 사례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 무슨 공부든지 잘할 것 같던 학생들이라도 대학에 진학한 후 고등학교때 선택하지 않은 교과목 때문에 고민하는 경우가 많다.

모 대학 전자공학과 수시 모집에 지원한 학생 D는 내신성적이 아주 우수했다. 그런데 대학입학시험 심층면접에서 “지면으로부터 같은 높이에서 무거운 물체와 가벼운 물체를 동시에 놓았을 때 어떤 물체가 빨리 떨어지겠는가” 라는 물리관련 질문을 받았다. D는 화학을 선택해 화학만 열심히 공부했지 물리에 별관심을 갖지 않았기 때문에 답할 수 없었다고 한다. 결국 D는 진학에 실패했다. 웃지 못할 안타까운 경우다.



고1때부터 자신의 희망과 적성 생각해야
 
   
 
 
앞의 사례들을 보면서 필자가 말하려는 것이 무엇인지, 무엇이 중요한 선택인지 이미 깨달았으리라 생각한다.

첫째 전공학과를 선택할 때 전공학과와 직업의 관계, 자아실현, 자신의 적성, 능력, 지능, 성격과 교과의 과정, 졸업 후 진로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기본 원칙으로 제시했다. 이 원칙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둘째 고등학교 1학년 과정에서 문·이과 과정을 선택하는 일은 산업사회, 전문화사회, 고부가가치를 지향하는 사회에서 인생의 큰 갈림길을 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부모, 담임교사, 교과담임 등의 진로상담을 통해 자신의 생애 설계에 바탕을 두고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셋째 고등학교 2학년까지는 물리, 화학, 생물, 지학을 잘 이해하면 전공학과나 학부선택이 쉬워질 것이다. 수능시험을 치를 때 선택과목은 전공학과 진학에 맞춰 선택하면 진학할 때 후회가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공대 기계공학과, 전자공학과, 건축공학과, 항공공학과, 자동차학과 등에 진학하고자 하면 물리를, 의·약 계열, 생명공학관련학과면 화학이나 생물을, 지질학, 기상학, 천문학을 지원하려면 지학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미래지향적인 선택을 해야 한다. 적성검사 결과나 해당교과의 성적이 좋지 않은 점을 염려해 자신의 장래 희망과 맞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자기의 생애 설계를 포기해서는 안된다. 적극적인 자세로 필요한 교과의 성적을 높이려는 마음으로 자신의 삶을 개척하기 바란다.
마지막으로 요약해 정리하면, 진로선택은 어느 한 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고등학생이 됐으면 1학년부터 자신의 희망과 적성에 맞게 계열선택(문·이과)을 하고 전공에 맞는 과목을 진지하게 고민해 선택해야 한다. 첫 단추인 계열 선택부터 신중하게 하고 사소한 것처럼 보이지만 선택과목을 결정할 때도 심사숙고하는 것이 자신의 인생을 설계하고 자아실현을 완성시키는데 아주 중요하다.

필자가 전문대 안경광학과에서 물리광학과 기하광학을 강의할 때의 일이다. 물리광학과 기하광학을 공부하려면 이과계열의 학문이 뒷받침돼야 한다. 그런데 인문계열 공부를 하고 진학한 학생들이 상당수였다. 이들은 강의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어려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글 | 최부호/마산제일고 과학교사ㆍ9998bu@hanmail.net |
자료첨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