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자가 되고 싶은 소극적인 모범생
경기 S고등학교 3학년 Y학생
“과학동아리 활동과 블로그 운영을 하면서 과학기자나 저술가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어요. 지구환경과학과를 나와서 환경보호와 연관된 과학기술을 더 배우고 싶어요. 입학사정관제를 준비하고 있는데 포트폴리오에 다양하게 쓸만한 내용이 없어서 고민이에요. 또 소극적인 성격에 말하기도 자신이 없고요. 부디 저를 도와주세요.”
과학동아 편집부에는 매달 꿈과 진로를 고민하는 독자들의 진지한 사연이 도달한다. Y학생의 메일에도 미래에 대한 절실함이 묻어났다.
“과학기자가 되고 싶다고? 그런 생각을 하게 된 계기는 뭐지?”
“중2 때부터 공부를 열심히 했어요. 특히 지구과학이 쉽고 재미있었어요. 전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데, 그런 이야기를 글로 써보고 싶어요.”
Y학생은 내신성적이 1~2등급이다. 상위권 대학에 지원할 만한 성적이다. 그 정도의 성적이라면 입학사정관들에게 기본적인 성실함은 증명할 수 있다. 하지만 입학사정관제에 지원하는 대다수 지원자들 또한 성실한 학생들이다. 성실함이 기본이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뜻이다. 과학기자가 되고 싶다면 입학사정관에게 자신이 글쓰기를 얼마나 잘 하는지, 어떤 글을 쓰고 싶은지에 대해 충분히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지원동기는 분명하지만, 그 내용에 좀 더 살을 붙여 표현하면 좋겠구나. 최근 기상악화나 생태파괴에 대한 뉴스나 다큐멘터리, 또는 책을 보고 크게 마음을 움직였던 일을 함께 말하면 어떨까? 그리고 앞으로 환경에 대한 글을 써서 우리나라에 어떤 기여를 하겠다는 의지도 드러내는 게 좋겠지. 독서는 많이 했니?”
“책은 많이 읽었는데 독후감은 많이 못썼어요. 읽고 감상을 적기가 왠지 어렵더라고요.”
“이공계 독후감을 쓰는 방법을 몰라서 어려운거야. 이공계 책은 지식을 전달하기 때문에 소설이나 수필과 달라. 읽고 꼭 감상을 적을 필요가 없어. 책의 내용과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접근해보도록 해.”
특히 독후감은 서류전형에 제출한 뒤 면접에서 종종 질문을 받는 항목이다.
“입학사정관은 네 꿈에 대해 질문을 하고, 네가 읽은 책에 대해서 물어볼 수 있어. 그럴 때 유연하게 대화를 이어가면 좋겠지. 너는 말하는 데 소질이 없다고 했는데 그렇지 않아. 핵심을 잘 전달하고 있어. 상대방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자신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표현하도록 노력한다면 충분할 거야.”
“저는 말을 유창하게 잘하는 친구를 보며 말하기에 대한 두려움이 더 커졌어요.”
“실제 면접은 화려한 언변을 보려는 게 아니야. 평소에 풍부한 생각을 갖고 있다면, 최선을 다해서 표현하면 돼. 무엇보다 밝은 표정으로 말하는 걸 잊지 말고!”
새롭고 낯선 일을 시작할 때 두려워하는 Y학생은 좀 더 자신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 Y학생은 부모님의 일 때문에 지방에서 이사를 자주 다녔다. 그런 환경에서도 꿋꿋하게 자기 관리를 잘해온 점은 장점으로 내세울 만하다.
“성적은 지금까지도 충분히 잘 관리해왔지만, 고3이 되면 수능 성적이 다소 떨어지게 마련이지. 난이도 높은 문제들을 확실하게 공략하는 게 좋겠구나. 네가 어려워하는 유형의 문제들을 한데 모아서 분석하고, 공략해보도록 해.”
선생님은 마지막으로 Y학생에게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건넸다.
“세상에는 개그맨처럼 사람들에게 웃음을 주는 사람, 테레사 수녀처럼 세상을 포근하게 하는 사람도 있어. 너처럼 세상을 똑바로 바라보고 올곧게 판단하는 사람도 필요해. 그러기에 충분한 자질을 갖고 있는 아이니까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꿈을 키워가길 바란다.”
APBOS 대표이사 신혜인 leedhshy@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