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사이언스
  • 과학동아
  • 어린이과학동아
  • 수학동아
  • 시앙스몰
  • 지니움
회원가입 로그인
닫기

동아사이언스

창의설계 및 생산공학 -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공학
분야 융합과학/산업공학
산업기술/기계
산업기술/재료
날짜 2011-01-26
창의설계 및 생산공학

'창의설계 및 생산공학'. 언뜻 낯설게만 들리는 이 말은 사실 인간의 역사와 그 맥락을 함께 해온 굉장히 오래된 학문중 하나다. 우리 생활 가장 가까이에서 삶을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데 직접적인 역할을 해온 창의설계 및 생산공학에 대해 알아보자.

1. 창의설계 및 생산공학이란 무엇인가요?

인간의 역사는 도구의 발달과 함께해 왔다. 돌을 가공해 도구로 사용하면서 신석기 시대가 시작됐고, 증기기관의 발명은 18세기 산업혁명의 기반이 됐다. 이렇게 새로운 도구와 기기의 출현은 인류의 역사에 큰 획을 긋곤 했다. 창의설계 및 생산공학 또한 과거에는 없던 새로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제작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이를 실제 형상으로 구현하는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배움으로써, 더욱 유용한 제품을 만드는 것이 이 분야의 목표다.

2. 어디에 사용되나요?

주로 기업에서 신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어떤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으면 컴퓨터 이용 설계(CAD) 같은 프로그램으로 형상을 구현하고 역학적으로 설계한다. 설계한 내용이 구동하는 데 문제가 없다고 생각되면 제작과정에 들어간다. 이렇게 제품이 대량생산되기 직전까지의 과정을 배우고 경험해 실제 개발에 적용한다.



창의설계 및 생산공학을 전공하면 자동차, 휴대전화,
LCD 제조회사를 비롯한 다양한 산업현장으로 진출할 수 있다.


3. 어디에 있어요?

설계와 생산에 관한 내용은 공대의 다른 학과에서도 접할 수 있지만, 대체로 시장 조사, 통계 처리로부터 아이디어를 내는 단계까지만 다룬다. 자신의 아이디어를 어떤 재료와 공정을 통해 구현할 것인가 하는 부분을 제대로 공부하기 위해서는 기계공학과에 진학하는 것이 좋다. 대다수 국내 기계공학과에서는 이 분야에 대해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해외에는 미국의 메사추세츠공대(MIT), 스탠퍼드대, 버클리대, 미시건대, 조지아텍과 같이 교육과 연구를 모두 강조하는 학교들이 유명하다.

4. 무엇을 배우나요?

고체역학, 동역학, 열역학, 유체역학을 배우며 제품 설계를 위한 기본 지식을 갖추고 제품 개발 이론, 제작과 응용에 관련된 내용을 배운다.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생성된 아이디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TRIZ(창조적 사고능력을 통한 문제해결)’ 같은 방법으로 자신의 사고를 전개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형상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익힌다. 또 한정된 비용으로 최적의 시스템을 제작하는 과정을 배운다.

5. 어떤 학생을 원하나요?

굉장히 넓은 범위를 아우르는 학문이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 적합하다. 공학 뿐 아니라 인문·사회과학이나 경영학, 예술에도 관심이 많고, 특별히 자신 있는 분야가 있어 다른 사람의 연구를 지원할 수 있으면 좋다. 또한 인간관계가 연구와 연결되기 때문에 원만한 의사소통 능력이 요구된다. 창의적인 사고를 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는 과정을 좋아하는 사람, 새로운 기술이 나왔을 때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사람이 유리하다.

6. 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요?

대학원에서는 학부 과정에서 배운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더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재료공학, 신소재공학 외 제품 개발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술을 연구하고, 생산 방법과 같은 응용 학문에 대해 공부한다. 또한 산업체와 연계해 직접 제품을 만드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산업체에 제품 개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실험으로 검증해 도와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평소에 자신이 제작하고 싶었던 생산시스템을 직접 기획하고 제작할 수도 있다.

7. 취업을 선택하면요?

대부분의 기업이 제품을 만들고 판매 수익으로 회사를 운영한다. 따라서 생산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기업에 진출해 자신이 가진 기술을 실용화할 수 있다. 자동차회사, 전자회사에 취직해 자동차나 휴대전화, LCD를 개발하거나 중공업회사에서 공작기계를 제작하기도 한다. 연료전지와 같은 에너지 관련 분야에 진출하기도 하며 기계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같은 정부 연구기관에서 일할 수도 있다.
자료첨부
목록